한국천주교회사

Author
윤나미
Date
2020-11-08 20:12
Views
535
1. 시대적 배경
우리나라에 천주교가 전래된 18세기 말엽의 조선사회는, 양반사회의 모순이 중첩되어 사화(士禍)와 당쟁(黨爭)이 그치지 않았고 이로 인하여 민중의 생활이 도탄에 빠져, 새로운 사회질서를 찾던 변혁기의 왕조사회였다. 조선의 지배 이데올로기였던 유교적 전통(성리학)은 현실의 여러 모순을 극복하기에는 힘이 부족하였다. 그러던 중 중국을 통해 들어온 새로운 사상과 문물들은 당시 조선의 지식인들에게 이 완고한 현실의 타파를 위한 새로운 운동(실학)에 활기를 불어넣어 주었다. 한편 이러한 문명의 흐름을 타고 서구의 그리스도교 사상도 들어오게 되었는데, 당시 중국에 보내진 외교사절단을 통하여 {천주실의}, {칠극} 등의 천주교 교리서가 들어와 실학파들과 남인계 소장학자들 사이에서 널리 읽혀지게 되었다. 학문적 호기심으로 연구되던 천주학은 천진암과 주어사의 연구모임인 '강학회'를 통해 신앙적 실천운동으로 발전하게 되었고, 마침내 이벽, 정약용, 권철신, 권일신 등은 천주교에 대한 지식의 폭을 넓히고 본격적인 신앙생활을 영위하기 위해 이승훈을 북경에 보내게 되었다.

2. 교회의 창립(1784년)
1784년, 이승훈이 베드로라는 이름으로 세례를 받고, 많은 교리서와 성서 그리고 성물을 가지고 귀국한 후 뒤이어 이벽 등이 영세 입교하였고, 서울의 명례방에서 정기적인 종교집회를 마련함으로써 한국 최초의 신앙공동체가 형성되면서 한국교회가 탄생되었다. 지금까지 단 한 사람의 전교신부조차 찾아온 일이 없었던 아시아의 한 왕국에 복음을 심기 위해 하느님은 기적적으로 한국교회를 창설하신 것이다. 이처럼 한국교회는 세계에서 유일하게 우리 민족 스스로의 깨우침으로 천주교 교리를 받아들여 신앙의 싹을 틔웠고, 평신도가 주축이 되어 오랜 박해의 기간 동안 신앙을 증거하고 키워 온 자랑스런 전통을 가지게 되었다.

3. 박해의 시대
1784년 이승훈의 세례로 출발하여 1886년 한불수호조약(韓佛守護條約)으로 선교의 자유를 획득하기까지 100여 년 동안은 한국교회의 혹독한 박해기요, 더불어 가장 탄탄한 주춧돌을 마련하기 위한 시련기였다. 만민평등사상과 천주사상을 외쳤던 종교적 요인도 있지만, 타락한 세도정치의 희생물이 된 천주교는 조선왕조 말기의 숱한 권력의 변화와 더불어 수많은 박해를 받아야만 했다.
최초의 박해는 을사년(1785) 봄, 명례방(현재의 서울 명동)에서 종교집회를 열고 있던 초기 교회의 지도자들이 추조(형조)의 관헌에게 적발됨으로써 일어났다(을사추조적발사건). 이중 집주인인 김범우는 자신의 믿음을 굽히지 않아 한국교회의 첫 순교자가 되었다. 1791년에는 조상에 대한 제사를 거부하고 신주를 불살랐던 윤지충과 권상연이 순교하였다(신해박해). 이 박해 이후 중국인 주문모 신부가 입국하고, 신도들의 열렬한 전교활동으로 교세가 크게 발전하자 이에 두려움을 느낀 정부가 천주교에 대한 탄압을 단행함으로써 1795년에는 윤유일 등이 순교하였다(을묘박해).
이후 1801년의 신유박해는 신생교회를 뿌리째 흔들어 놓았는데 주문모 신부와 '백서'사건의 황사영 등 200여 명의 신도가 순교했다. 그러나 그런 박해 속에서도 살아 남은 신도들은 다시 교회 재건을 위해 노력하였다. 그 결과 1831년에는 조선교구가 설정되었고, 이에 파리외방선교회의 선교사가 조선에 파견되었다. 1839년의 기해박해 때는 3명의 프랑스인 선교사와 '상재상서(上宰相書)'를 지은 정하상 등이 순교하였고, 1846년의 병오박해 때는 최초의 한국인 신부 김대건과 현석문 등 9명의 교우가 순교하였다. 한편, 교구 설정을 전후하여 한국인 성직자를 양성하고자 노력했는데, 박해시대 동안 김대건과 최양업이 신부로 서품되었다. 김대건 신부는 뜨거운 신앙과 뛰어난 학식으로 신도들에게 훌륭한 모범을 보여주며 장렬히 순교하였다.
최양업 신부는 신도들을 위한 봉사와 성직자 양성을 위해 전생애를 바쳤다. 비록 피를 흘리지는 않았지만 그의 생활은 연속되는 순교 그 자체였다. 마지막으로 1866년에 시작된 병인대박해는 근 10년간 계속된 가장 혹독한 시련으로 선교사 9명이 희생되고 남종삼 등 8,000여 명의 신도들이 순교하였다.

4. 박해시대 교회에 관한 성찰
교회 창설 이후 100여 년에 이르는 박해 기간 동안 10,000여 명의 신도들이 하느님께 대한 자신의 신앙을 고백하며, 이 땅에 하느님 나라가 건설되도록 기도하며 죽어갔다. 그러나 이러한 일련의 시련기를 겪으면서 오히려 한국교회는 뜨거운 신앙과 따뜻한 사랑의 공동체로 성장할 수 있었고, 지금의 우리가 새롭게 되새겨 본받아야 할 몇 가지 교훈을 남겨 주었다.
첫째, 순교 선열들의 뜨거운 신앙심이다. 순교 선열들에게 하느님은 참으로 모든 것이었다. 하느님과 함께 있을 때 모든 것을 얻고, 하느님과 함께 있지 않을 때 모든 것은 허무라는 것을 이분들은 깊이 깨달았다. 때문에 우리 신앙의 선조들은 천주교를 믿으면 모든 것을 빼앗기고 목숨까지 잃는다는 것을 알면서도 하느님께 대한 믿음을 잃지 않고 신명을 바쳐 이를 힘차게 증거하였던 것이다. 오늘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바로 이같이 굳센 믿음이다. 하느님을 진실로 모든 것에 앞서서 믿고 따르고 사랑하는 삶인 것이다.
둘째, 우리 신앙의 선조들은 그 어려운 박해 속에서도 서로 사랑하기를 친형제같이 하였다. 이들이 박해의 손길을 피해서 산간벽지로 피난살이를 할 때에는 서로가 어려운 처지이면서도 가진 모든 것을 나누었고, 체포되어 혹독한 고문 아래 문초를 받을 때에는 서로 격려하고, 서로를 위해 기도함으로써 믿음을 굳건히 지키도록 도왔던 것이다. 순교 선열들의 이러한 믿음과 사랑은 박해자들까지 감동시켜서, 마침내 박해자들 중에서도 회개하고 영세 입교하여 순교한 사람이 있었다.
셋째, 박해시대의 신도들은 천주교를 일종의 사회적 복음으로까지 인식했다. 교리에 내포된 평등사상은, 당시 신분제도를 비롯하여 불평등한 각종 사회질서 아래 신음하던 많은 민중들에게는 새로운 사회복음이었던 것이다. 그들은 양반, 천민이라는 신분제도에서 벗어나 하느님 앞에 모두가 한형제라는 우애를 실천하였다. 또한 여성도 남성과 동등한 인격을 가진 귀한 존재임을 일깨워 주었으며, 서자와 과부, 어린이 등 인격적인 대우를 받지 못했던 사람들의 권리에도 관심을 가졌다. 그리고 수용 당시부터 한글로 성서와 교리서를 옮기는 등 한글을 공용어로 사용함으로써 평등하고 보편적인 민중문화를 형성하려 노력하였다. 이러한 초기 한국 교회 공동체에서 보여주었던 뜨거운 신앙과 형제적 사랑, 그리고 사회 혁신의 정신은 다소 수용되기도 하고 퇴색되기도 하면서 한국천주교회의 뿌리가 되었다.

5. 종교의 자유와 발전: 1886년 한불수호조약
19세기 후반, 잇달아 체결된 구미 열강(歐美 列强)들과의 불평등 조약의 와중에서, 1886년 프랑스와 맺은 한불수호조약은 불완전하게나마 조선에 처음으로 선교의 자유를 가져왔다. 이리하여 박해시대에 형성된 교우촌과 주요 도시를 중심으로 본당 조직이 발전하게 되었다. 서울의 명동에 주교좌 본당이 건립되고, 성직자 양성을 위한 신학교가 서울 용산에 세워졌으며, 여러 수도회가 한국에 진출하여 교회사업에 활력을 불어 넣었다. 북간도에도 선교사들이 파견되어 교회를 세우니, 현재도 북간도 지방은 한국교회의 관할권 밑에 속해 있다. 또한 교회는 교육운동과 언론운동을 전개해 1910년까지 124개의 학교를 설립하였고, 경향신문을 창간하여 백성들에게 바른 판단을 제공하고, 열강의 다툼 속에서 민족 독립을 수호하고자 노력하였다. 암울했던 일제시대에 독실한 천주교인이었던 안중근의 의병활동, 서상돈의 국채보상운동은 우리의 민족기개를 높이 드날린 것이었고, 3·1운동과 광주학생의거에 대거 참여하여 굴욕과 인내의 시기를 극복코자 했던 것도 선각자적 전통을 이어받은 것이었다.

6. 교회의 발전과 사명
일제의 탄압에도 교회는 꾸준히 발전하여 1925년 한국순교복자 79위의 시복식을 성대히 거행했고, 교구 조직이 크게 발전하여 9개 교구로 증가하였다. 1942년에 노기남 신부의 주교 서품으로 서울 교구장직이 처음으로 한국인에게 넘겨졌다. 8·15 해방은 교회에도 큰 감격과 기쁨을 안겨 주었다. 우리말로 미사를 드리고 성가를 목청껏 부를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38도선 이북의 교회는 남쪽과는 달리 대규모 탄압과 성직자 체포로 신앙의 자유를 잃게 되어 국토 분단의 비극은 북한교회의 전멸을 가져왔으며 오늘날까지 침묵을 강요당하고 있다. 6.25 사변 중에는 교회를 복구하고 이재민에 대한 구호활동을 통하여 교회의 사업을 계속해 나갔으며, 전후에는 전쟁과 부패한 정치로 인한 피해와 폐해를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과업을 떠맡게 되었다. 1953년에 도입된 레지오마리애운동은 평신도들의 신심과 활동을 성장시켰으며, 신용협동조합운동으로 신도들의 자립심을 키워주고, 가톨릭노동청년회를 설립하여 노동자들의 권익을 위하여 투쟁하였다. 1962년, 한국교회는 명실공히 독립된 정식교구로 승격되었으며 이 해에 시작된 제2차 바티칸 공의회는 현대교회의 반성과 쇄신을 강력히 요구하고 있고, 한국교회도 스스로의 쇄신을 위해 노력해 오고 있다.
1984년 한국교회 창설 200주년을 맞아 103위 순교복자들이 성인품에 오르게 되었고, 1989년에 제44차 세계성체대회를 유치한 한국교회는 이제 새로운 도상에 서 있다. 1996년 말 현재 15개 교구(북한의 2개 교구 제외)에 356만 신자(남한 인구의 약 7.8%), 2,600여 명의 성직자가 활동하고 있는 한국교회는, 성장과 발전의 미명 아래 반복음적 삶을 사는 수많은 '가난한 이들'에게 그리스도의 광명과 해방을 알리는 시대적 요청에 직면해 있다. 초창기 순교 선열들이 피로써 증거한 그 뜨거운 열심을 회복하여 외적 성장에 맞는 내적 성숙을 이룩해야 한다. 그리하여 성직자와 수도자와 평신도가 함께 주역으로 뛰어야 할 내일은 바로 우리의 교회사인 것이다.

한국천주교회 주요 박해
1 을사추조적발사건(정조9년, 1785년) 이벽의 가택 감금과,김범우 유배생활, 그 여파로 사망
2 신해박해(정조15년, 1791년) 윤지충, 권상연의 순교
3 신유박해(순조1년, 1801년) 주문모 신부, 정약종 등 초대 교회지도자 순교
4 을해박해(순조15년, 1815년) 경상도 교우 100여 명 체포, 그중 30여 명 순교
5 정해박해(순조27년, 1827년) 전라도 교우 240여 명을 포함하여 경상도, 충청도, 서울 등지에서 500여명 체포됨. 그중 15명이 옥사 혹은 순교
6 기해박해(헌종5년, 1839년) 전국적 박해. 정하상 등 불란서 성직자 3명을 합하여 100여 명 순교
7 병오박해(헌종12년, 1846년) 김대건 신부 등 10여 명 순교
8 병인박해(고종3년, 1866년) 대원군에 의해 8천∼2만여 명 순교
9 제주교난(고종3년 1901년) 일반민중에 의한 천주교도 학살
Total 0